대선 관련주, AI 100조 공약에 시장이 반응했다…최대 수혜주는 네이버?
대통령선거가 한 달 앞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주식시장에서는 테마주가 난립하고 있지만 저는 대선테마주를 매수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대통령선거라는 것은 국가경제의 측면에서 경제의 큰 축이 변화하는 변곡점이라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도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대선주자들의 경제 관련 정책을 살펴보고 앞으로 우리나라 먹거리를 예상해 보는데요. 이번 대선에서 다행인 점은 여야에서 뽑힌 대선주자들의 공략이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한쪽이 당선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은 작다는 것입니다.
대선정책을 살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우리나라가 직면한, 아니 거의 전 세계가 직면한 경제 주제는 거의 하나로 집약됩니다. 바로 AI입니다.
이명박 대통령 시절, 자전거 관련주는 텐베거

정책이 만든 흐름, 대선이 시장을 움직인다

과거를 돌이켜보겠습니다. 이명박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내세우며 자전거 인프라를 밀어붙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타고 다니는 자전거전용도로는 거의 이때 만들어진 것입니다. 그 덕분에 삼천리자전거, 참좋은레져 같은 종목은 대통령이 자전거 타는 장면만 나와도 상한가를 찍었다고 합니다.
2025 대선, 여야 모두 AI에 베팅중
지금은 2025년, 다음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핵심 키워드는 AI(인공지능)라고 생각합니다. 후보들은 AI 국가 전략을 경쟁적으로 발표 중에 있습니다. 누군가는 100조 원을, 또 다른 이는 ‘AI 3강 진입’을 외치고 있습니다. 다행인 점은 여야 모든 후보들이 경쟁적으로 AI투자를 외치고 있기 때문에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위험해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이 흐름의 중심에 설 기업은 어디일까요?
네이버, 조용히 AI 전쟁의 판을 깔고 있다
네이버는 하이퍼크로버 X라는 초거대 AI 모델을 이미 갖고 있습니다. GPT처럼 문장을 생성하고 요약하고 번역하는 그런 모델입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이걸 직접 써본 사람은 많지 않죠. 저도 써보긴 했는데, 조금 불편하더라고요.
- 2023년 기준, 크로버 X의 누적 방문자는 18만 명 수준,
- 평균 사용 시간은 챗GPT의 1/3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왜일까요?
그 이유는 단순합니다. 네이버는 이걸 일반 대중보다는 기업과 개발자 중심으로 먼저 풀었기 때문입니다.
내가 네이버를 주목하는 이유
1. 한국어에 최적화된 초거대 AI – 하이퍼크로버 X
네이버는 GPT급의 AI 모델을 직접 만들었고, 한국어 환경에서는 GPT보다 맥락 이해력이 더 낫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검색이나 문서 자동 생성처럼, 한국어로 무언가를 처리해야 할 상황에선 강력하다고 합니다.
2. 자체 인프라와 독립성
- 세계 7위 슈퍼컴퓨터
- 자사 데이터센터 ‘각’
AI는 결국 데이터와 연산력 싸움인데, 네이버는 남한테 의존하지 않았습니다. 클라우드도 직접 하고, AI도 직접 굴리고 있습니다. 단점이자 장점이지민, 지금은 강점이 부각되어 보입니다.
3. 적용할 곳이 많다
오픈 AI는 '엔진'은 만들었지만 쓸 곳은 마이크로소프트가 가져갔습니다. 하지만, 네이버는 다르죠. 검색, 쇼핑, 광고, 뉴스, 금융, 클라우드까지 다 가지고 있습니다. 엔진도 있고, 바로 돌릴 수 있는 판도 있는 기업이다.
4. 멀티모달 기술도 키우고 있다
요즘 AI는 텍스트만 처리해선 안 됩니다. 사진, 음성, 동영상까지 동시에 이해하는 ‘멀티모달’ AI가 주류죠. 구글은 유튜브를 통해 이걸 실현하고 있고, 네이버도 그 기술을 조용히 키우고 있습니다.
제가 요즘 쇼츠를 배우면서 네이버의 공격적인 정책을 눈앞에서 보고 있습니다. 한 달에 클립 3개 올리면 만원씩 뿌리고 있습니다. 과연 네이버클립을 키우기 위한 목적만 있을까요? 아닐 것입니다.
영상 AI 전쟁: 결국, 누가 동영상 데이터를 갖고 있느냐
요즘 구글이 내놓은 Gemini 1.5를 보면 정말 놀랍습니다. 1시간짜리 유튜브 강의도 요약하고, 장면별로 요점도 뽑아줍니다.
이게 가능한 이유는 단 하나, 유튜브를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네이버는 유튜브만큼의 플랫폼은 없지만, 한국어 기반 데이터와 서비스 사용자층은 매우 강력하다. 이를 기반으로 클립을 적극적으로 키우고자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의 AI 육성 정책이 더해지면, 앞으로의 판은 누구도 장담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돈은 어디로 움직였나? 외국인과 기관의 ‘네이버 베팅’

2025년 4월 22일 기준 | - 외국인: 네이버 144억 원 순매수 (당일 기준 외국인 순매수 4위) - 기관: 네이버 139억 원 순매수 (기관 순매수 3위) - 주가: 19만 3,700원, 최근 저점 대비 약 9% 상승 |
2024년 말 ~ 2025년 초 | - 외국인은 23거래일 연속 순매수, 누적 약 1조 원 이상 매수 - 네이버 상장 이래 역대 최장 수준의 연속 순매수 기록 |
제가 네이버를 보는 이유는 단지 기술력이나 방향성 때문만은 아닙니다. 진짜 중요한 건 돈의 흐름입니다. 최근 흐름을 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네이버를 꾸준히 매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들은 이미 움직이고 있습니다.
총정리: 왜 지금 네이버인가
조용하지만, 준비된 종목.
시장은 늘 그런 기업에 먼저 반응한다.
- 정책 흐름
- 한국형 AI 기술력
- 자립형 인프라
- 서비스 적용 가능성
- 그리고, 외국인과 기관의 자금 흐름까지
모든 퍼즐이 맞아떨어지고 있습니다. 대선의 핵심 키워드가 AI라면, 그리고 그 AI 흐름에 올라탈 기업을 고르라면,
나는 주저 없이 네이버를 고르겠습니다.
딱히 좋아하지 않지만 어대명이라 이재명 대통령후보의 AI관련 정책을 정리한 쇼츠를 가지고 와봤습니다. 국가 주도하게 GPU 5만 개를 확보하겠다는데. 이것을 무엇을 할지 궁금해지네요. 누군가에게 지급할 것인데. 과연 어디일까요?
'재테크 > 경제 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끝났다고요? 지방소득세 누락시 가산세 위험! 신고법 총정리 (0) | 2025.05.11 |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셀프신고, 5월 필수 과제! 홈택스 작성법부터 실수 방지 팁까지 (1) | 2025.05.11 |
챗GPT 지브리 스타일 열풍이 보여준 AI 투자 지형도: 미국 vs 중국, 어디에 베팅할까? (0) | 2025.04.03 |
트럼프, 경제침체를 의도했나? 4월 이후 미국 증시 향방은? (0) | 2025.03.17 |
다가오는 로봇 시대! 지금 투자해야 할 AI·휴머노이드 관련주는? (4) | 2025.03.10 |
댓글